오늘 한 스푼

🌐 DAO(탈중앙화 조직)의 사례와 한계 – 운영 경험과 개선 방향 본문

🌍 한입 지식/⛓️ 블록체인·암호화폐

🌐 DAO(탈중앙화 조직)의 사례와 한계 – 운영 경험과 개선 방향

오늘 한 스푼 by 산이 2025. 9. 4. 11:16
반응형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화 조직)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중앙 권력 없이 스마트 계약과 토큰 보유자들의 투표로 조직을 운영하는 새로운 형태의 협력 구조입니다. 기존 기업과 달리 CEO나 이사회가 아니라, 참여자 전체의 합의와 규칙에 따라 의사결정이 이뤄진다는 점이 핵심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투명성과 신뢰성이 높아지고, 글로벌 참여자들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조직 운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DAO 사례로는 **메이커다오(MakerDAO)**를 들 수 있습니다. 메이커다오는 스테이블코인 DAI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DAO로, 토큰 홀더들이 투표를 통해 담보 유형, 이자율, 안정화 정책 등을 결정합니다. 이 구조 덕분에 중앙기관 없이도 스테이블코인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었으며, 금융 탈중앙화(DeFi) 분야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또 다른 사례인 The DAO 프로젝트는 2016년 큰 주목을 받았지만, 스마트 계약의 취약점을 악용한 해킹으로 약 5천만 달러 규모의 자금이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은 DAO의 가능성과 동시에 기술적·운영적 한계를 명확히 보여주었습니다.

 

DAO의 한계로는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첫째, 스마트 계약 취약성입니다. 코드에 존재하는 버그나 예기치 못한 논리적 오류는 자산 손실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둘째, 거버넌스 지연입니다. 모든 결정이 참여자 투표로 이뤄지므로, 긴급한 의사결정이 필요할 때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셋째, 규제 불확실성입니다. DAO는 전통적 법률 체계 안에서 명확한 법인격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법적 분쟁 발생 시 책임 소재가 모호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DAO는 개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부 프로젝트는 다층 투표 구조, 긴급 대응 프로토콜, 보험 펀드 등을 도입해 운영 안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전통 기업과 DAO의 혼합형 모델인 “온체인 거버넌스 + 오프체인 운영” 전략을 통해 신속한 의사결정과 탈중앙화 투명성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시도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금융, 예술, 게임, 사회적 조직 등 다양한 영역에서 DAO 활용 가능성을 넓히고 있습니다.

 

결국 DAO는 기술적 혁신과 조직 운영 방식을 재정의하는 실험이며, 과거 사례와 현재 개선 시도를 통해 장기적으로 탈중앙화된 협력 모델의 현실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투자자나 참여자는 스마트 계약 위험, 거버넌스 한계, 규제 불확실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참여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