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한 스푼
“실업률이 높다는데, 그게 왜 문제야?” — 초보를 위한 실업률 쉬운 설명 본문
실업률? 그게 뭐야?
실업률은 일할 수 있는 사람 중에서 실제로 일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에요.
예를 들어, 열 명이 일자리를 찾고 있는데, 그중 세 명이 일 못하고 있다면 실업률은 30%예요.
쉽게 말하면, **"일하고 싶지만 못하는 사람의 비율"**을 보여주는 숫자예요.
왜 중요한 걸까? 언제 뉴스에 자주 나와?
실업률이 높다는 건, 사람들이 돈을 벌 기회가 줄어들었다는 뜻이에요.
당연히 돈을 못 벌면 소비도 줄고, 경제 전체가 힘들어져요.
그래서 정부나 중앙은행은 경기 흐름을 볼 때 실업률을 꼭 챙겨봐요.
특히 경기침체, 금리 결정, 정책 발표 전에 실업률이 뉴스에 많이 나와요.
예를 들어 “이번 달 미국 실업률이 예상보다 낮게 나왔다”는 뉴스는
“경제가 생각보다 괜찮네?”란 의미로 해석되죠.
이걸 알면 투자에 어떻게 도움이 될까?
실업률은 경제가 살아나는지, 식고 있는지를 가늠하는 힌트예요.
ㆍ실업률이 낮아진다 → 일자리 많다 → 사람들 지갑이 두둑해짐 → 소비 증가 → 기업 매출 증가 → 주가 상승 기대
ㆍ실업률이 높아진다 → 경제 불안 → 금리 인하 기대 → 채권·주식 시장에 영향
그래서 투자자들은 매달 발표되는 ‘고용보고서’에 실업률이 몇 % 나왔는지 꼭 챙겨봅니다.
실업률 수치 하나가, 주식 시장 전체를 흔들기도 해요.
요약하자면…
ㆍ실업률 = 일 못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
ㆍ경제가 좋을 땐 낮고, 나쁠 땐 높아져요
ㆍ경기 흐름, 소비력, 금리 정책까지 연결돼서 투자에도 큰 영향이 있어요
주의할 점 3가지
ㆍ실업률만 보고 투자 판단하면 위험해요 (다른 지표랑 같이 봐야 해요)
ㆍ수치보다 ‘예상 대비 결과’가 더 중요할 때도 있어요
ㆍ짧은 기간의 변화보다는 추세를 보는 게 더 유용해요
“실업률은 경제의 체온계 같아요.
열이 오르면 아프고, 안정되면 건강한 거죠.”
'📊 투자·시장 실전 > 📝 경제 개념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이 뭘까? 돈과 나라 사이의 가격 이야기’ (10) | 2025.08.08 |
---|---|
재정정책 vs 통화정책, 경제를 움직이는 두 가지 큰 손 (12) | 2025.08.07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쉽게 이해하기: 경제의 온도 조절기 (11) | 2025.08.05 |
GDP란 무엇인가? 경제 규모와 투자 전략의 핵심 지표 (20) | 2025.08.04 |
🇨🇳 CBDC란 무엇이고, 왜 시작되면 안된다고 보는가? 디지털 통화의 빛과 그림장 (6)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