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뇌과학
- 투자심리
- 디파이
- 이더리움
- 탈중앙화지갑
- 암호화폐 뉴스
- 코인시황
- 금융시장
- 탈중앙화
- 비트코인
- 투자전략
- xrp
- 국제무역
- 경제위기
- 환율
- 암호화폐투자
- 시장심리
- 실전투자
- 인지편향
- 리플
- 스테이블코인
- 하드웨어월렛
- 암호화폐
- 알트코인
- 블록체인
- 암호화폐 투자
- 글로벌시장 #주식시장 #안전자산 #비트코인 #이더리움 #시장전망
- 리스크관리
- 심리학
- 신경과학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13)
오늘 한 스푼
세상에서 가장 자주 바뀐 국기는 어디일까요?놀랍게도 정답은 바로 아프가니스탄입니다.이 나라는 지난 100년 동안 30번 가까이 국기를 바꿨습니다. 거의 3년에 한 번꼴로 바뀐 셈이죠.다른 나라 국기들은 수십 년, 심지어 수백 년간 유지되는 경우가 많은데, 아프가니스탄은 예외 중의 예외입니다.왜 이렇게 자주 바뀌었을까요?답은 ‘정권 교체’에 있습니다.아프가니스탄은 지난 한 세기 동안 군주제, 공화제, 사회주의, 이슬람국가 등정치 체제가 자주 바뀌었고, 그때마다 국기도 달라졌습니다.새로운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자신들의 정체성을 국기에 담으려 했던 것이죠.국기의 색이나 문양, 문구가 조금만 바뀐 것도 포함하면 그 변화는 더 많아집니다.특히 2021년 탈레반이 정권을 다시 장악하면서,기존의 삼색 국기를 폐기하고..
돈이 돌게 할까, 조일까?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은 나라 경제를 조절하는 두 가지 방법입니다.쉽게 말해, 정부와 중앙은행이 “경기 조절 리모컨”을 나눠 들고 있는 것이라 보면 됩니다.정부는 ‘재정정책’이라는 리모컨을,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이라는 리모컨을 들고 있죠.경기가 너무 차가워져서 소비도 줄고 기업도 움츠러들면,정부는 세금을 줄이거나 돈을 풀어 인프라 투자를 늘립니다. 이게 재정정책입니다.반대로, 물가가 너무 오르거나 경제가 과열될 땐 중앙은행이 이자율을 올려 돈줄을 죕니다.이게 통화정책입니다.예를 들어, 가족 여행 중 날씨가 너무 덥다면 아이스크림을 사주는 건 ‘재정정책’이고,에어컨 온도를 조절하는 건 ‘통화정책’인 셈입니다.하나는 지갑을 여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온도..
1. 이번 주 시장 흐름 한눈에 요약이번 주 암호화폐 시장은 기대와 불안이 교차하는 혼조세 흐름이었습니다. 비트코인은 주 초반 강보합세를 유지했지만, 주 후반 들어 전반적인 하락 압력에 다소 밀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ETH와 XRP, SOL 등 대표 알트코인은 4~7% 하락하며 조정 국면에 진입했어요. Barron's2. 이번 주 주요 이슈 정리ㆍ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반영: 미국의 고용 부진과 달러 강세, 무역 긴장은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Barron'sBinanceSPIRIT Blockchainㆍ 토큰 언락 규모 감소: 8월 들어 대규모 토큰 풀림이 52% 줄며, Sui, Aptos 등의 소규모 언락만 남았습니다. 시장에 즉각적인 매도 압력은 완화된 모습이에요. AInvestㆍ 규제 변화 기..
많은 투자자들이 공통으로 겪는 실수가 하나 있습니다.“꼭지에서 샀다가, 물렸다”는 말.이미 가격이 한참 올랐을 때 뛰어들고, 그 직후에 떨어지는 흐름.왜 그럴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지각된 확신’ 때문입니다.사람은 불안할 때보다 확신이 들 때 행동을 합니다.가격이 오르기 시작할 때는 불확실하고 망설이지만,뉴스에 오르고, 유튜버들이 말하고, 주변 친구도 돈 벌었다고 할 때쯤우리는 ‘이제 확실하구나’ 하고 들어갑니다.문제는, 그 순간이 대부분 이미 상승 후반이라는 거죠.시장에서는 감정이 반응한 뒤에야 우리가 움직이기 때문입니다.이런 실수를 줄이려면첫째, 가격이 올라서 사고 싶어졌을 때 오히려 멈추고 '왜 지금인지'를 묻는 습관을 들이세요.둘째, 매수 계획은 감정이 아닌 조건으로 정해야 합니다.예: "20..
코인판에서 “FUD 조심하세요”라는 말, 들어보신 적 있나요?FUD는 영어 줄임말로 Fear, Uncertainty, Doubt, 즉 ‘두려움, 불확실성, 의심’을 뜻해요.한마디로, ‘겁먹게 만드는 이야기들’이에요.누군가 “이 코인 망했다더라” “규제로 다 잡힌대” 같은 말을 퍼뜨릴 때, 투자자 마음에 불안이 스멀스멀 퍼지죠.이게 바로 FUD입니다.이게 왜 중요한 개념일까요?FUD는 보통 가격이 떨어질 때 자주 등장해요.뉴스나 SNS에서 부정적인 이야기가 확 퍼지면, 투자자들이 겁에 질려서 서둘러 파는 현상이 일어나죠.그런데 이 FUD는 사실이 아닐 수도 있어요.경쟁 세력이나 고래(큰손 투자자)들이 싸게 매수하려고 의도적으로 흘리는 정보일 수도 있습니다.그럼 이걸 투자에 어떻게 써먹을 수 있을까요?첫째,..
오늘 무슨 일이 있었냐면요,오늘 ‘Bitcoin Hyper’라는 새 밈코인이 주목받고 있습니다.프리세일에서 600만 달러 이상을 모으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어요.이 코인은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빠르고 싸게 쓸 수 있게 해주는 Layer‑2 기능을 목표로 소개되었습니다.이 소식 덕분에 시장에 신선한 기대감이 퍼지고 있습니다.The Economic Times이 코인의 배경을 잠시 살펴보면,Bitcoin Hyper는 단순한 유행 밈코인이 아니에요.스페셜한 점은, 비트코인을 더 빠르고 저렴하게 전송할 수 있는 Layer‑2 솔루션 기능을 노린 프로젝트라는 점이죠.즉, 실용성을 더한 밈코인으로 차별화하려는 그림이에요.프리세일에서 빠르게 수백만 달러가 모였는데, 이는 개발에 대한 기대감과 투자자의 입소문이 반영된 ..
오늘 암호화폐 시장은 전체적으로 조심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움직였습니다. 비트코인은 $114,000 선 위에서 견조함을 유지했지만, 이더리움은 약간의 하락세를 보이며 불확실성이 여전한 모습입니다. ETF 자금 흐름과 금리 전망 등 거시 요인이 시장에 부담을 준 하루였습니다.비트코인은 소폭 상승하며 $114,000 대를 유지했습니다. 이는 ETF 기반 자금 유출이 이어지는 가운데에서도 강한 수급 기반을 보여준 결과입니다. 이와 달리 이더리움은 소폭 하락하며 기술적 저항 수준에서 머뭇거리는 모습입니다. 특히, GENIUS 법안 통과 이후 상승 모멘텀이 있었지만 현재는 규제 이슈와 ETF 테마 기대가 혼재된 상태입니다Barron'sBusiness InsiderIndiatimes.알트코인 중에서는 눈에 띄는 움직..
“ESG? 요즘 기업들이 착한 척(?) 하는 이유”기업들이 요즘 왜 갑자기 친환경 캠페인에 나서고,임직원 복지에 신경 쓰고, 사회적 발언도 조심할까요?그 이유는 바로 ‘ESG’ 때문입니다.친환경이니 사회 책임이니 하는 멋진 말들이단순히 좋은 이미지 때문만은 아닙니다.요즘은 ‘착한 기업’이 돈을 더 잘 벌 수 있는 세상이 되었기 때문이죠.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입니다.쉽게 말해 기업이 ‘돈만 잘 벌면 되는’ 시대는 끝났고,이제는 **“세상에 민폐 안 끼치는 회사인가요?”**가 더 중요해졌다는 뜻이에요.회사가 얼마나 친환경적인지, 직원과 협력업체를 잘 대우하는지,회장님 혼자 멋대로 회사 휘두르지는 않는지 등사회적으로 ‘괜찮은 기업’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