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8/01 (12)
오늘 한 스푼
비트코인, ETF 자금 유입 속 조용한 반등…다시 시작되는 랠리 신호일까?최근 며칠 사이 비트코인은 조용하지만 의미 있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7월 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동결한 직후 기관 자금이 ETF(상장지수펀드)를 통해 유입되며, 비트코인은 다시 11만 8천 달러 선을 회복했습니다. 겉으로는 큰 뉴스 없이 보합세 같지만, 내부적으로는 자금 흐름의 방향이 바뀌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더리움 ETF 기대감과 맞물리며 시장 전체가 소폭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비트코인 역시 잠재적 랠리를 준비하고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비트코인이 시장의 중심 자산으로 여겨지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2009년 등장한 이래, 탈중앙화 디지털 자산이라는 상징성과 함..
오늘(7월 31일) 코인 시장은 연준의 금리 동결 발표와 규제 기대 덕분에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특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ETF 자금 유입에 힘입어 반등했고, 리플은 상대적으로 강한 수급 탄력을 보이며 차별화된 모습을 연출했습니다.---① 비트코인(BTC):약간 하락 후 $118,000대에서 리바운드하며 단기 안정세 뒷받침 ETF 중심 기관 수요 긍정적으로 작용, 기술 지표상으로는 보합권 흐름다만 $120,000 돌파 여부가 중기 방향 판단 포인트② 이더리움(ETH):ETF 자금 유입 효과에 힘입어 +2%대 상승 기록 $2,461 저항선 돌파→현재 $3,700 수준 계속 상승 중RSI 기준으로 상승 모멘텀 유지 중이며 MACD도 골든크로스 진행 중 ③ 리플(XRP):하루 약 +2..
2017년 출시된 WAX(WAXP)는 ‘NFT 게임 생태계’에 특화된 대표적인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최근 아마존과의 협업 소식으로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다소 한정된 유저층을 타겟으로 했던 WAX가, AWS와의 기술 통합을 계기로 글로벌 게임사 및 NFT 사용자층까지 외연을 넓히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NFT 기반 디지털 굿즈나 게임 아이템 거래에 특화된 구조 덕분에, Web3 기반 게임 시장이 성장할수록 WAX의 활용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최근 WAXP는 장기 박스권 흐름을 보이며, 20230.09달러 사이를 오가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아마존 협업 뉴스 발표 이후 한 차례 상승세를 보였으나, 이후 시장 전반 조정에 따라 다시 눌림목 구간에 진입한 상황입니다. 주요 지지선은 0..
스텔라(XLM)은 빠르고 저렴한 국제 송금을 목표로 탄생한 퍼블릭 블록체인입니다. 기존 금융 인프라의 느린 전송 속도, 높은 수수료, 복잡한 절차를 개선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특히 국경 간 송금과 디지털 화폐(CBDC)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삼성과의 협업으로 블록체인 키스토어에 탑재된 경험도 있어, 실물기기와의 연동 가능성 면에서도 주목받아 왔습니다.---스텔라의 정체성: '가난한 사람을 위한 리플'에서 '공공 인프라'로스텔라는 리플(XRP)의 공동 창립자 제드 맥케일럽이 2014년 분리해 만든 프로젝트입니다.차이점은 분명합니다. 리플은 은행 중심의 폐쇄형 네트워크를 지향한 반면, 스텔라는 비영리재단이 운영하는 오픈소스 퍼블릭 네트워크를 지향하며 **‘금융 포용’**을 핵심 가치로 삼습니다..
폴리곤(MATIC)은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레이어2 솔루션입니다. 빠른 거래 속도, 낮은 수수료, 다양한 확장 방식(사이드체인, ZK 롤업 등)을 제공하며, 실제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강력한 실사용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특히 2020년 이후부터 삼성, 디즈니, 나이키, 스타벅스, 메타(구 페이스북) 등 글로벌 대기업들과 연동되며, 이더리움 기반 실물 경제 연결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이더리움의 ‘가속 엔진’ 역할, 폴리곤의 정체성과 구조폴리곤은 원래 ‘매틱 네트워크’라는 이름으로 시작했으며, 2021년 브랜드를 리브랜딩하면서 생태계를 급격히 확장했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이더리움과의 호환성(EVM 기반)을 유지하면서도, 자체 사이드체인 기술로 거래 속도..
이오스(EOS)는 한때 ‘이더리움을 대체할 유망한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으로 주목받았던 대형 프로젝트입니다. 특히 2018년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ICO(약 4조 원)를 기록하며 큰 기대를 모았지만, 이후 개발 정체와 커뮤니티 분열 등으로 인해 시장의 관심에서 멀어졌습니다.그러나 최근에는 **ENF(EOS Network Foundation)**를 중심으로 재출발에 나서며, 거버넌스 재편과 웹3 기반 인프라 확장을 추진 중입니다. 삼성과의 직접적 연결은 약하지만, DID·스토리지 연동 가능성에서 기술적 활용성은 존재합니다.---과거의 영광, 무너진 생태계… 그리고 ENF의 ‘리부트’ 선언EOS는 ‘빠른 속도(TPS)’와 ‘수수료 없는 구조’를 앞세워 이더리움 킬러로 주목받았고, 특히 개발사 블록원(Blo..
클레이튼(Klaytn)은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형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특히 카카오라는 강력한 모기업을 배경으로 다양한 실생활 서비스와의 연결성을 갖춘 점이 특징입니다. 최근에는 CBDC 시범 사업, WEMIX와의 협업, 클레이튼 2.0 전환 등의 이슈로 다시금 시장의 관심이 모이고 있으며, 삼성전자와의 간접적 연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클레이튼의 기술적 흐름, 펀더멘털, 리스크와 기회를 중장기 투자 관점에서 정리합니다.카카오 + CBDC 연계 기대, 클레이튼에 다시 쏠리는 시선클레이튼은 2019년 카카오의 블록체인 계열사 ‘그라운드X’가 주도해 만든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초기에는 메신저 연동 및 NFT·게임 중심의 생태계 확장이 주요 방향이었습니다. 이후 정부 주도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
삼성과 DID 기술 연계, 아이콘(ICX)에 다시 쏠리는 시선아이콘(ICX)은 한국 대표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특히 **DID(탈중앙 신원 인증)**와 기관 간 데이터 연동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삼성 SDS와의 협업을 통해 DID 기술 실증에 참여한 이력이 있어, 향후 삼성 계열 서비스에 기술이 접목될 가능성이 거론되며 관심이 재부상 중입니다. 특히 정부 주도의 DID 활성화 정책이 강화될 경우, 기술 수혜주로도 기대를 모을 수 있습니다.---가격 흐름 및 기술 분석: 반등 기반 다지기 중최근 ICX의 가격은 전반적인 알트코인 약세장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중기적으로는 바닥을 다지고 있는 모습입니다.ㆍ지지선: 0.1550 사이에서 횡보 중으로, 과매도 구간에 근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