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한 스푼
중국과 연관된 주요 블록체인 프로젝트 총정리: 규제와 기술이 만나는 지점 🌐 본문
중국은 암호화폐 거래를 강하게 규제해 왔지만, 동시에 블록체인 기술 자체는 전략적으로 육성해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 정부와 밀접하게 연계되었거나 중국 기원을 가진 주요 프로젝트들을 플랫폼 유형별로 정리하고, 그 핵심 기술 특성과 전망을 짚어봤습니다.
---
① 스마트 계약 플랫폼
NEO (NEO, GAS)
‘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며, dBFT 합의 구조로 초당 1,000 TPS 처리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실제로 기업용 디지털 자산·스마트 계약 생태계를 구축 중이며, Ontology와 협력해 상호운용성 프로토콜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
Ontology (ONT, ONG)
분산 ID 기반 데이터 관리 중심 플랫폼으로, 기업·공공기관의 신원 인증 및 데이터 통합에 적합합니다. NEO와의 협업으로 상호운용성을 강화했습니다 .
Qtum (QTUM)
비트코인의 UTXO 모델과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 기능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체인입니다. 전통 금융 시스템과 블록체인을 연결할 수 있어 중국 중심의 기관 도입 기대가 있습니다 .
Conflux (CFX)
중국 정부가 직접 주도한 ‘일대일로’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를 Conflux Network가 이끌고 있습니다. Tree‑Graph 합의 구조 기반으로 높은 TPS를 지원하며, 규제를 준수하는 퍼블릭 체인으로 실사용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IOST
초고속 스마트 계약 처리에 특화된 플랫폼으로, Web3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② 공급망 및 물류
VeChain (VET, VTHO)
IoT 센서 기반 공급망 관리와 제품 이력 추적 기능이 주요합니다. Walmart China, BMW, PwC 등 글로벌 기업과 연계해 실제 산업에 적용 중이며, 중국 내 활용 사례도 확장 중입니다.
Waltonchain (WTC)
RFID 태그 기반 물류 추적 시스템과 블록체인을 결합해 생산에서 유통까지 물류 투명성 확보에 중점 프로젝트입니다.
---
③ 미디어 및 콘텐츠
Tron (TRX)
콘텐츠 제작자와 사용자 간 중개자 없이 직접 연결하는 분산형 플랫폼입니다. 중국계 창업자가 설립했고, VPN 기반 해외 진출도 적극적입니다.
Theta (THETA, TFUEL)
블록체인 기반 스트리밍 네트워크로, 데이터 중계 노드를 구축해 P2P 방송 및 콘텐츠 공유를 지원합니다.
---
④ 금융 및 자산 관리
Bytom (BTM)
물리적 자산과 디지털 자산을 토큰화하여 실물세계를 블록체인과 연결합니다.
Loopring (LRC)
이더리움 기반 DEX 프로토콜로, 탈중앙화 거래소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합니다.
Nervos Network (CKB)
금융 응용에 최적화된 Layer‑1 블록체인으로, 확장성과 보안성을 균형 있게 갖추고 있습니다.
Hcash (HC)
여러 체인 간 데이터 및 지갑 연결을 지원하는 상호운용성 프로젝트입니다.
---
⑤ 기타 주요 프로젝트
Elastos (ELA): 인터넷 플랫폼의 보안을 강화하는 프로젝트
Filecoin (FIL): 중국 내 분산형 스토리지 활용이 활발하며, Web3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Celer Network (CELR): 레이어‑2 확장 솔루션으로 트랜잭션 확장성 개선
Matrix AI Network (MAN): AI와 블록체인 융합을 추구하는 기술 지향형 플랫폼
---
⑥ 중국 정부 주도 프로젝트
디지털 위안화 (DCEP)
중국 인민은행이 직접 발행하는 중앙은행 디지털통화로, 법정화폐화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입니다. 정부 주도의 신뢰성과 중앙화 구조가 특징입니다.
---
🧠 중국 블록체인 산업의 핵심 특징
1. 강력한 기술 장려와 암호자산 규제 병행: 거래·채굴은 금지, 기술은 장려
2. 정책 중심 중심화 구조: Conflux처럼 정부 주도 프로젝트 중심
3. 글로벌 인프라 프로젝트와 연결: 일대일로, BRI와 연계한 인프라 구축
4. DID 인증 시스템 개발 (RealDID 시스템): BSN 기반 정부 실명인증ID 시스템 구축
---
✅ 마무리: 기술 중심 vs 정책 중심 분별이 투자의 핵심
중국 관련 프로젝트들은 대부분 탈중앙화보다는 규제 준수와 산업 실용성 중심입니다. 투자 시에는 다음 세 가지를 기준으로 프로젝트를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프로젝트가 정부 또는 제도와 연계된 구조인지
실제 산업 적용 사례 또는 파트너십이 있는지
기술적 특장점(속도, 합의 구조, 상호운용성 등)이 경쟁력이 있는지
'🌍 한입 지식 > 💵 경제·금융·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기반 암호화폐 유망 프로젝트 TOP 10: 규제·기술·금융 연계 중심 심층 분석 (12) | 2025.07.31 |
---|---|
일본과 연관된 유망 암호화폐 10선: 규제·기술·시장 기반으로 본 실전 분석 (2) | 2025.07.30 |
러시아 연관 블록체인 프로젝트 총정리 — 기술력과 실용성 중심 분석 (9) | 2025.07.30 |
“2025년, 주목해야 할 한국 블록체인 코인 10선: 실용성과 확장성이 만든 미래” (6) | 2025.07.30 |
가족 간 계좌이체, 증여세 폭탄 맞지 않으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2025년 국세청 규정 (0)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