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뇌과학
- 디파이
- 탈중앙화
- 국제무역
- 인지편향
- 이더리움
- 투자심리
- 블록체인
- 스테이블코인
- 암호화폐
- 신경과학
- 경제위기
- 글로벌시장 #주식시장 #안전자산 #비트코인 #이더리움 #시장전망
- 리스크관리
- 심리학
- 환율
- 비트코인
- 실전투자
- 암호화폐 뉴스
- 시장심리
- 코인시황
- xrp
- 알트코인
- 하드웨어월렛
- 투자전략
- 리플
- 암호화폐 투자
- 탈중앙화지갑
- 금융시장
- 암호화폐투자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40)
오늘 한 스푼
오늘 전체 코인 시장은 비트코인 중심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이었고, 이더리움이 ETF 자금 유입에 힘입어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미국 연준의 금리 동결 결정과 백악관의 암호화폐 규제 보고서 발표 이후, 전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지만, ETH는 상대적으로 돋보였습니다.---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 시황 요약**비트코인(BTC)**은 주요 지지 구간인 $116,000~$120,000 사이에서 횡보 흐름을 유지하며 $118,500 안팎에 머물렀습니다. 연준의 금리 정책 불확실성 영향으로 큰 변동 없이 반등 움직임도 제한되었습니다 .**이더리움(ETH)**은 ETF 기반 유입 기대감에 힘입어 하루 1–2%대 상승, $3,730 지지선 위에서 반등하며 $3,770 수준에서 거래되었습니..
암호화폐에 대한 세금은 국가마다 천차만별입니다. 어떤 나라는 수익에 전혀 세금을 매기지 않는가 하면, 어떤 나라는 최대 50% 넘게 세금을 부과하기도 합니다. 특히 비트코인, 알트코인 등 디지털 자산의 투자·트레이딩이 활발해지면서, 해외로 눈을 돌리는 투자자들도 많아졌습니다. 여기선 ‘세금이 없거나 매우 낮은 나라’, ‘코인에 세금이 무거운 나라’, 그리고 ‘이주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주의사항’을 전문가 관점에서 정리했습니다.---① 세금이 ‘없는’ 혹은 ‘거의 없는’ 나라들다음 국가는 소득세·법인세·부가세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없어서 ‘조세 피난처’로 불리며, 트레이더·자산가들이 자주 언급하는 지역입니다.ㆍ🇦🇪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포함): 개인 소득세 없음. 대기업만 9% 법인세 부과. 부..
뉴스에서 자주 듣는 ‘긴축정책’, 이게 뭘까요?긴축이란 말 그대로 ‘꽉 조인다’는 뜻입니다.정부나 중앙은행이 시중에 풀린 돈을 줄이기 위해 ‘돈줄을 조이는’ 행동을 하는 거예요.쉽게 말해, 사람들이 돈을 쉽게 쓰지 못하게 일부러 막는 거예요.비유하자면, 아이가 용돈을 마구 써서 과자를 사먹을 때, 엄마가 용돈을 줄이거나 아예 안 주는 것과 비슷하죠.그럼 왜 이런 정책을 쓸까요?긴축정책은 주로 ‘물가가 너무 많이 오를 때’ 등장해요.예를 들어 장바구니 물가가 계속 오르고, 월세나 외식비가 부담스러워질 때가 대표적인 시기입니다.정부는 “이렇게 계속 오르면 안 되겠다”며 돈을 덜 풀고, 금리를 올려서 소비를 줄이려 합니다.그래야 가격 상승 속도가 좀 천천히 가거든요.이걸 알면 투자에 어떤 도움이 될까요?긴축정..
미국은 글로벌 암호화폐·블록체인 시장에서 투자 규모, 기술 혁신, 규제 명확성 측면 모두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GENIUS Act 통과와 금융권의 제도권 진입 등이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안정성과 성장 모멘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XRP (Ripple Labs)Ripple Labs가 만든 XRP는 초저수수료·고속 결제 기능으로 은행 간 송금을 혁신합니다. 최근 SEC와의 법적 문제에서 증권이 아니라는 판단을 받으면서 제도권 채택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2025년 상반기부터 U.S. 금융기관 및 해외 결제 파트너 확장이 활발합니다 .2. Solana (SOL)샌프란시스코 기반 Solana Labs는 초당 수만 건(TPS) 처리, 수수료는 $0.001..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명확하고 체계적인 암호화폐 규제 체계를 갖춘 국가 중 하나로, 이로 인해 글로벌 투자자들과 기업들의 신뢰를 꾸준히 얻고 있습니다. 일본 금융청(FSA)은 모든 암호화폐 거래소와 관련 프로젝트에 대해 철저한 등록 및 심사 절차를 요구하며, 이는 암호화폐 산업의 투명성과 안정성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또한 일본은 디지털 결제, 사물인터넷(IoT), 데이터 보호, 스마트 계약 등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이 융합된 프로젝트들을 육성하고 있어, 기술적 응용 면에서도 매우 역동적인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이러한 환경 속에서 일본에서 시작되었거나 일본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암호화폐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본과 관련된 대표적인 10개 코인 및 프로젝트를 기술적 특성..
중동은 암호화폐 거래 자체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지만, 블록체인 기술의 도입과 혁신 여부에는 매우 적극적입니다. 오늘은 UAE, 바레인, 터키 등 중동과 관련된 주요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을 정리하고, 각 프로젝트의 기술적 특성과 실용성을 중심으로 소개합니다.---① 중동 주요 암호화폐 및 플랫폼Zilla (ZLA) – UAE·두바이 기반ICO 및 토큰 세일 플랫폼으로, 투자자와 프로젝트 팀 간의 불투명성을 줄이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두바이의 암호화폐 허브 전략과 맞물려 성장 가능성이 있습니다.MenaPay (MPAY) – 터키·중동 지역이슬람 금융 원칙(리바 금지)을 준수하는 디지털 결제 시스템입니다. 무현금 경제를 목표로 하며, 특히 이슬람권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금융 서비스입니다.Palmex ..
러시아는 암호화폐 거래에 대해 매우 엄격한 규제를 유지하지만, 블록체인 기술 개발은 정부와 기업이 동시에 추진 중입니다. 이 글은 러시아에서 시작되었거나 밀접 연관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을 정리하고, 각 기술 특징과 실용적 가치를 중심으로 분석했습니다.---① 대표 프로젝트Waves (WAVES)러시아 기반 플랫폼으로, PoS 기반 토큰 발행, 거래, DEX, 크라우드펀딩 기능 제공 샤샤 이바노프가 2016년 창립. ICO 이후 글로벌 확장 중 Deloitte와 협업한 기업용 법적·세무 지원 시스템도 구축 TON / Free TON (Toncoin)텔레그램 창업자 파벨 두로프가 시작, 이후 오픈소스 커뮤니티 기반으로 TON Foundation 유지 Telegram 내 지갑 기능 통합, 사용자 기반 ..
중국은 암호화폐 거래를 강하게 규제해 왔지만, 동시에 블록체인 기술 자체는 전략적으로 육성해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 정부와 밀접하게 연계되었거나 중국 기원을 가진 주요 프로젝트들을 플랫폼 유형별로 정리하고, 그 핵심 기술 특성과 전망을 짚어봤습니다.---① 스마트 계약 플랫폼NEO (NEO, GAS)‘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며, dBFT 합의 구조로 초당 1,000 TPS 처리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실제로 기업용 디지털 자산·스마트 계약 생태계를 구축 중이며, Ontology와 협력해 상호운용성 프로토콜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Ontology (ONT, ONG)분산 ID 기반 데이터 관리 중심 플랫폼으로, 기업·공공기관의 신원 인증 및 데이터 통합에 적합합니다. NEO와의 협업으로 상호운용성을 ..